매뉴얼 페이지(man page)는 텍스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명령과 옵션에 대한 도움말이다. 새로운 명령을 접했을 때 맨 페이지를 검색해 보면 많은 도움이 된다.# man [명령어] 다음은 ls 프로그램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를 실행하는 명령이다.$ man ls 옵션 기능 -a 모든 manual page 출력 -d 디버깅 정보 출력, 맨 페이지는 출력하지 않는다. -i whatis 와 같음 -h 도움말 출력 -k apropos 와 같음 -t groff(troff)를 사용하여 프린트를 위한 형식으로 출력 매뉴얼 페이지가 여러 개로 나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세션 번호를 써서 페이지를 불러낸다. 이런 세션 번호는 매뉴얼 페이지에 제목으로 적혀 있는 명령어 다음에 괄호에 숫자로 나타난다. 다음은 kill(2) m..
기타 유용한 명령어clearclear 명령은 콘솔화면 또는 원격 로그인 터미널창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쉘프롬프트를 화면 맨위로 올려주는 명령어로서 일종의 화면정리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다른 명령어들과 달리 특별한 옵션이 없으며 단순히 작업중인 콘솔 또는 터미널 화면을 깨끗하게 정리할 때에만 사용한다.datedata 명령어는 서버 시스템의 현재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종종 서버의 날짜와 시간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서버의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고 정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date로 날짜롸 시간을 새롭게 설정할 때에는 "date MMDDhhmmYY(순서대로 월, 일, 시, 분, 년도(네 자리 가능))"과 같은 ..
디렉토리 및 하드 디스크 용량 확인du du는 "Disk Usage"의 약어로서 파일 및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df 명령어와 함께 리눅스에서 디스크의 사용량을 점검하고 확인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즉, df 명령어가 파티션(파일 시스템) 단위의 디스크사용량을 점검한다면 du 명령어는 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단위로 하여 그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아무 옵션 없이 du 명령을 내리면 해당 디렉토리의 서브 디렉토리별 용량 및 총합을 출력한다.-a : 모든 파일들의 정보를 출력한다. 초기값은 경로(디렉토리)에 대한 정보만 출력한다.-b : 출력 단위를 KB 대신 Byte로 한다.-c :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 정보를 먼저 보여주고 나서 합계를 출력한다. 초..
파일 생성 및 복사touch touch는 파일의 날짜시간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즉, 아무런 옵션 없이 사용되면 서버의 현재시간으로 파일의 최근에 사용한 시간과 최근에 변경된 시간을 변경한다. 만약 지정된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파일의 크기가 0인 파일을 생성한다. -t 옵션을 사용하면 서버의 현재시간이 아닌 지정된 파일의 날짜시간정보를 변경한다. -t 옵션을 사용하면 특정 파일의 날짜시간정보를 지정한 것으로 변경한다.mkdir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어로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때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간단히 "mkdir 디렉토리명"으로 간단하게 필요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위 디렉토리 경로를 포함하는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에는 -p 옵션을 사용한다...
디렉토리 및 파일위치 확인 명령어현재 작업 디렉토리 위치 확인 : pwd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어로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작업 디렉토리의 이동 : cd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어로서 작업 디렉토리의 위치를 변경하는 쉘 내부 명령어이다. 즉,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서 지정된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그냥 "cd"라고만 하면 서버 로그인 시에 처음 위치했던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한다. "cd ~"라고 명령을 내려도 홈디렉토리로 이동하는데, "~" 표시는 홈디렉토리를 의미하여 "~/bin"과 같이 뒤에 하위 디렉토리를 입력해도 된다.cd / :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cd . : 현재 디렉토리(현위치)..